2023년 상반기 걸그룹 노래 속 영어 가사의 비중은 41.3%로 5년 전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뉴진스 48.4%, 르세라핌 50.6%, NMIXX 49.3% (여자)아이들 53.6%, 블랙핑크 50%로 이들 노래에 영어 가사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걸그룹 노래 속 영어 가사에는 주로 I, You, Like, Love 등과 같은 단어들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2018년과 2023년 상반기 영어 가사에 큰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이그룹 노래 속 영어 가사에는 주로 I, You, Like, Love, baby 등과 같은 단어들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2018년과 2023년 상반기 걸그룹과 마찬가지로 영어 가사에 별다른 변화는 없었으며 사랑을 주제로 한 전체 가사의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리하면,
케이팝 아이돌 노랫말에서 영어 가사의 비중이 어느 정도 차지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는데, 과거에 비해 걸그룹에서 영어 가사의 사용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0년 블랙핑크의 글로벌 성공 이후, 내수 시장 중심의 걸그룹 시장이 해외로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제작 단계에서 팬덤뿐만 아니라 글로벌 대중을 공략하기 위해 영어 가사의 사용을 대폭 늘린 것으로 판단됩니다. 팬덤 중심의 남자 아이돌과는
차별화된 현상으로 보입니다.
곡 제작에 참여하는 인원수도 과거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아이돌 멤버의 작사와 작곡 참여 외에도, 최근 해외 작곡가들이 케이팝 시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것도 곡당 참여하는 작품자의 수가 증가하는데 일정 부분 기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Top 400위 내에 오른 아이돌 음원 수가 2023년 상반기 87곡(걸그룹 63, 보이그룹 24)으로 2018년 상반기에 비해 27곡 감소했지만, 상대적으로 걸그룹의 곡 수가 증가(25곡) 한 것도 대중이 가요 노랫말에서 체감적으로 영어 가사의 비중을 크게 느끼는 요인으로 생각됩니다.
글: 김진우 써클차트 수석연구위원
*써클차트 칼럼은 써클차트 페이스북 페이지 또는 아래 제 개인 인스타그램/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받아 볼 수 있습니다.
*본 칼럼의 내용은 써클차트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글쓴이 약력>
1990년대 말 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교에서 뮤직비즈니스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CT 대학원에서 Cultural Management & Policy 석사학위를 받았다. 음악업계에는 1999년에 처음 입문하였으며 2009년에는 KT뮤직에서 차장 지냈다. DSP미디어 ‘카라프로젝트’ 전문심사위원과 Mnet ‘레전드 100송’ 선정위원, 가온차트 K-POP어워드 심사위원,엠넷 MAMA 심사위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심의위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자문위원, ‘SBS 인기가요’ 순위 산정방식을 설계할 때 알고리즘 자문을 맡기도 했다. 현재 음악전문 데이터 저널리스트로 활동 중이며, 대표 저서로는 ‘뮤직비즈니스 바이블’이 있다.
Email: littlegiant91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