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년 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가수별 1억 회 이상 스트리밍 곡 조사에서 아이유가 총 17곡을 기록하며 1위에 올랐습니다.
2011년 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연도별 1억 회 이상 스트리밍 곡 조사에서 2017년 발매곡이 49곡으로 가장 많았고, 2019년 43곡, 2018년 38곡 순으로 조사되었습니다.
2011년 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유통사별 1억 회 이상 스트리밍 곡 조사에서 카카오 엔터 유통곡이 93곡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유통곡은 폴킴의 '모든 날, 모든 순간 (Every day, Every Moment)', 아이유 (IU)의 '밤편지', 멜로망스(Melomance)의 '선물' 등이 있습니다.
*'지니뮤직', '지니뮤직, Stone Music entertainment' 유통은 '지니뮤직, Stone'으로 표기하여 합산 집계합니다.
2011년 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1억 회 이상 스트리밍 곡 조사에서 1~2억 회 스크리밍 곡이 201곡, 2~3억 회 스트리밍 곡은 48곡, 5억 회 이상 스트리밍 곡은 1곡으로 조사되었습니다.
2011년 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장르별 1억 회 이상 스트리밍 곡 조사에서 발라드 곡이 85곡 댄스곡 60곡, Pop(해외음원) 38곡으로 조사되었습니다.
2011년 1월부터 2025년 3월까지 1억 회 이상 스트리밍 곡 조사에서 OST는 총 22곡이었으며, 주요 OST는 폴킴의 '모든날, 모든 순간', 에일리의 '첫눈처럼 너에게 가겠다' 등이 있습니다.
정리하면,
최근 10 여 년간 아이유가 1억 회 이상 스트리밍 곡을 17곡, '밤편지'(4.13억), Blueming'(3.14억)등, 배출하며 국내 스트리밍 시장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260곡의 1억 회 이상 스트리밍 곡 중 49%에 해당하는 130곡이 2017~2019년에 발매되었으며, 이 시기는 국내 스트리밍 시장의 전성기로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2017~2019년, 1억 회 이상 스트리밍 곡의 장르는 발라드(38%), 댄스(16%), 해외 팝(15%), 랩/힙합(10%)의 순이며, 발라드는 폴킴, 아이유, AKMU(악동뮤지션), 에일리, 멜로망스, 윤종신, 노을 등 주도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한편, 이 시기는 드라마 OST 시장이 활성화되었던 시기로, 폴킴의 "모든 날, 모든 순간"(키스 먼저 할까요?, 5.57억), 에일리의 "첫눈처럼 너에게 가겠다"(도깨비, 3.51억), 폴킴의 "안녕"(호텔 델루나, 2.17억) 등 OST들이 드라마와 시너지를 내며 스트리밍 시장을 견인했었습니다.
2017년~2019년은 발라드가 주축이 되어 내수시장이 탄탄한 가운데, BTS와 BLACKPINK 같은 메가 아티스트의 성장, SNS 플랫폼의 바이럴 효과가 차트에 영향을 주며 스트리밍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던 기간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전체적으로 1억 회 이상 스트리밍 곡들은 발라드와 댄스 양강 체제를 형성하며, 국내 음악 시장의 선호도가 명확히 드러난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해외 팝 음원 가운데 1억 회 이상의 스트리밍을 기록한 곡으로는 Anne-Marie의 '2002'( 3.62억), Ed Sheeran의 'Shape of You'(3.33억), Sam Smith의 'I`m Not The Only One'(2.72억) 등이 있습니다.
글: 김진우 음악전문 데이터저널리스트
*써클차트 칼럼은 써클차트 인스타그램 또는 아래 제 개인 인스타그램/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받아 볼 수 있습니다.
*본 칼럼의 내용은 써클차트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글쓴이 약력>
1990년대 말 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교에서 뮤직비즈니스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CT 대학원에서 Cultural Management & Policy 석사학위를 받았다. 음악업계에는 1999년에 처음 입문하였으며 2009년에는 KT뮤직에서 차장 지냈다. DSP미디어 ‘카라프로젝트’ 전문심사위원과 Mnet ‘레전드 100송’ 선정위원, 써클차트 K-POP어워드 심사위원, 엠넷 MAMA 심사위원, 한국콘텐츠진흥원 심의위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자문위원,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추천위원, ‘SBS 인기가요’ 순위 산정방식을 설계할 때 알고리즘 자문을 맡기도 했다. 현재 음악전문 데이터 저널리스트로 활동 중이며, 대표 저서로는 ‘뮤직비즈니스 바이블’과 ‘궁금했던 뮤직 비즈니스 이야기’가 있다.
Email: littlegiant911@gmail.com
https://www.instagram.com/musicbusinesslab
https://www.facebook.com/musicbusinesslab
김진우 ㅣ 2025-04-22